[민상법] 기본제도 ( 민/상법 , 권리와 의무 , 권리의 객체 )
○ 주요 학습용어
- 법원 : 외부에 나타난 법의 존재형식 또는 현상
- 명령 : 입법기관인 국회의 의결을 거치지 않고서 다른 국가기관에 의하여 제정된 법규
- 상사자치법 : 회사 기타의 단체가 상사에 관하여 자주적으로 정한 자치법규
- 권원 : 일정한 법률상 또는 사실상 행위를 정당화시키는 원인 내지 근원
- 사원권 : 단체의 구성원이 그 구성원이라는 지위에서 단체에 대해서 가지는 권리
- 형성권 : 권리자가 일방적 의사표시에 의하여 법률관계의 발생,변경,소멸을 일어나게 하는 권리
- 선행주의 : 채권의 경우 먼저 행사한 자가 이익을 얻는다는 것
- 집합물 : 단일물 또는 합성물인 다수의 물건이 결합하여 경제적으로 하나의 가치를 가지고 거래상으로도 하나의 객체로 다루어지는 것
- 주물과 종물 : 어떤 물건의 소유자가 그 물건의 경제적 효율을 돕기 위해서 자기 소유의 다른 물건을 계속적으로 이에 부속시킨 때, 앞의 것을 주물, 뒤의 것을 종물이라 함
- 원물과 과실 : 경제적 수익을 낳는 물건을 원물, 원물에서 생기는 수익물을 과실이라 함
○ 주요내용 요약정리 - 현대 금융기관은 크게 신용리스크, 시장리스크, 운영리스크의 위험에 직면해 있음 - 금융업무를 처리하려면 민상법에 대한 지식을 쌓아두는 것이 긴요함 - 민법은 개인의 생활관계를 규율하는 법으로 사법,일반법,실체법 - 상법은 기업관계를 규율하는 법으로 사법,특별법,실체법임 - 우리나라는 성문주의를 택하므로 성문법이 사법의 제1차적인 법원이 되며, 이에 더하여 불문법도 일부 민법의 법원이 됨 - 민법은 기본원리는 공공복리를 실현하는 것, 상법의 기본원리는 기업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는 것 - 사회규범 가운데 법규범에 의해서 규율되는 생활관계를 법률관계라 함 - 권리 : 일정한 이익을 누릴 수 있도록 법이 인정하는 힘을 말하며, 나누는 기준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나눌 수 있음 - 권리의 행사 : 자체로서는 관념적인 권리를 현실화 하는 것, 구체적 방법은 권리의 종류에 따라 다름 - 권리의 객체 : 권리의 내용인 이익발생의 대상이 되는 것, 권리의 종류에 따라 다름 - 물건 : 유체물 기타 관리할 수 있는 자연력을 말하며, 나누는 기준에 따라 여러가지로 분류할 수 있음 - 부동산 : 토지와 그 정착물을 말함 - 동산 : 부동산 이외의 모든 물건 - 물권 : 특정의 물건을 직접 지배해서 이익을 얻는 배타적 권리 - 채권 : 특정인이 다른 특정인에게 특정한 행위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
'공부하자 > 민상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민상법 자연인의 변동 및 법인과 회사제도 (0) | 2013.05.25 |
---|---|
민상법 금융거래의 상대방 (0) | 2013.05.25 |
민상법 기타 기본제도 (0) | 2013.05.25 |
민상법 법률행위 관련 기타제도 (0) | 2013.05.25 |
민상법 법률행위 (0) | 2013.05.25 |
법률관계의 변동 (0) | 2013.03.31 |
민법과 상법의 효력 (0) | 2013.03.23 |
민법과 상법의 기본원리 (0) | 2013.03.23 |
민법과 상법의 법원 (0) | 2013.03.23 |
민법과 상법의 의의 (0) | 2013.03.23 |